
				
                수원시, 늦가을 도시 건축물과 경관의 아름다움을 즐겨요! 
                
            
        
				
                진안군, 7080 감성 더한 가을 마이산 ‘7080 감성축제 
                
            
        
				
                물억새 은빛 물결 향연, 김해 화포천으로 떠나볼까! 
                
            
        
				
                서초구, 전통말과 AI 로봇말의 만남! 양재 말죽거리 축제 개
                
            
        
				
                평창군, 산지에서 바로 담그는 김장! 고랭지김장축제11. 5~
                
            
        
				
                가을 정취 담은 국화의 향연,  서산국화축제 7일 개막
                
            
        
				
                고흥군, 역대급 흥행예감, 고흥유자축제 11월 6일 개막
                
            
        
				
                제5회 고흥유자축제 야간경관 사전 개방
                
            
        
				
                동해시, 무릉별유천지 30퍼센트 할인 이벤트 추진
                
            
        
				
                부천 루미나래 정식 개장…‘빛이 그리는 무릉도원의 밤’
                
            
        
밤 9시. 하루의 일과 끝, 집으로 가던 발길을 돌렸다. 혼자 있고 싶다. 어딘가에 혼자 투숙하는 건 내키지 않는다. 집 같으면서도 집은 아닌, 무언가 몰입할 것이 있는 공간이 있다면 좋겠다. 포털사이트 검색창에 ‘24시’를 서둘러 검색한다. 24시 편의점, 24시 카페 등등의 블로그 후기가 연달아 나온다. 어느 곳도 안 끌린다. 그러다 한 군데가 불현듯, 섬광처럼 눈에 들어온다. 24시 도서관. 명칭은 ‘파주 지혜의숲’. 지금 있는 곳은 서울이고, 파주는 가깝다. 한 번 돌린 발길은 그대로 파주에 가닿는다.
24시간 책과 있고 싶을 때, 지혜의숲으로
1
2
1
파주 지혜의숲 3관은 24시 개방이다.
2
지혜의숲 이용 중 휴식을 원하면 카페를 이용할 수 있다.
파주 지혜의숲은 파주 출판도시 안에 있다. ‘지혜의숲’의 단골 수식어는 ‘방대한 도서 보유량’이다. 총 1, 2, 3관으로 구획된 지혜의숲의 도서 보유량은 총 50만여 권. 각각의 책은 기증을 통해 소장되었다. 1관은 국내 학자와 지식인 등 전문가들의 개인 기증 도서가 소장된 공간이다. 문학, 역사, 철학, 사회과학 등 각 분야 전문가의 장서를 기증받아 비치했다. 반면 2, 3관은 국내 유수의 출판사가 기증한 도서들이 소장되어 있다. 특기할 점은 높은 천장과, 천장만큼 높은 서가의 높이다. 책이 천장까지 닿도록 전시되어 있다. ‘책은 있되, 꺼내볼 수가 없다’는 일부 방문객들의 불만이 일전에 타 매체들에서 보도된 바가 있는데, 결코 과장이 아니다.
 
물론 모든 서가가 다 그런 것은 아니다. 24시 개방하는 3관의 경우 서가의 높이도 비교적 ‘낮고’, 책걸상도 있어 앉아서 책을 읽을 수 있다. 1, 2관이 다소 위압감을 주는 공간이라면, 3관은 동네 도서관 같은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공간이다. 단, 내부에 음식물을 반입할 수 없고, 도서 대출도 불가하다. 이용 중 취식을 원하는 입장객은 테라스가 있는 카페 등을 이용할 수 있다.
 
3관에 한해 24시 개방되지만, 편하게 앉을 수 있는 안락의자가 있는 것은 아니다. 이곳은 독서 공간답게 절제되고 정돈된 느낌이 다분하다. 단지 책 냄새가 그립고, 집 아닌 곳에서 밤새 여러 책을 골라 읽는 것으로 만족한다면, 지혜의숲은 기꺼이 만족스러운 공간이 되어주지 않을까? 지혜의숲 특유의 노랗고 따뜻한 조명으로 위안을 얻을 수 있다면 금상첨화일 것이다.
 
지혜의숲, 그리고 ‘도서관’이라는 공간 정의에 관한 단상

파주 지혜의숲을 도서문화공간으로 인식한다면 높은 서가도 달리 보이지 않을까.
‘메가톤급’ 장서 보유량과 24시 개방이라는 파격 서비스에도 불구하고 ‘지혜의숲’에 대한 평가는 좋지만은 않다. 부정적인 평가의 주안점은 ‘책은 많은데 정작 마음대로 골라 읽을 수 없다’, ‘책을 꺼내보기 불편하다’는 내용이다. 말마따나 사람 키를 훌쩍 넘은 서가를 보면, 설계 단계부터 이미 이용자를 고려하지 않은 건 아닌가 하는 생각마저 들 정도다.
 
그러나 이러한 ‘불만’은 이곳을 도서관으로 인식하기 때문에 생기는 ‘인지 오류’는 아닐까. 통상 도서관의 첫째 기능은 책의 대출과 반납이다. 반면 지혜의숲은 대출이 불가한 건 기본이고, 책을 마음대로 꺼내 읽기도 불편하다. 높은 서가와, 분야별이 아닌 출판사별 분류 등이 그 이유다. 그런데 지혜의숲을 과연 전통적인 의미의 도서관으로 인식하는 것만이 정답일까. 예컨대 독서가 가능한 도서, 출판 공간으로 본다면 어떨까. 관점에 따라 이곳의 책은 당초부터 읽게 하기 위한 책이 아니라, 전시용이자 독서용 책으로 생각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서관 혹은 독서문화공간으로서의 지혜의숲. 무엇으로 정의하고 받아들일지는 이용자 개인의 몫이다. 어쩌면 도서관이라는 공간의 패러다임이 지혜의숲으로 인해 바뀔 지도 모를 일이다. 이곳을 방문한 독자의 생각이 문득 궁금해진다.
 

			                        트래블아이 한마디
			                        지혜의숲을 방문한 트래블피플은 어떤 생각을 하셨나요? 도서관에 대한, 지혜의숲에 관한 트래블피플의 생각을 듣고 싶습니다.
글 트래블투데이 편집국
발행2016년 11월 23 일자
해당 콘텐츠에 대한 기여도
				
 기사+사진
				
 기사
				
 사진
				
 오류수정
				
참여한 트래블파트너가 없습니다.
참여한 주재기자가 없습니다.
참여한 파워리포터가 없습니다.
참여한 한줄리포터가 없습니다.
테마리스트 페이지 버튼 테마별 기사리스트 페이지로 이동
				진안군, 7080 감성 더한 
			
테마리스트 해당기사와 같은 테마기사 리스트
테마리스트 바로가기 버튼 테마별 리스트 정보제공
			
			핫마크 콘텐츠에 대한 중요도 정보

			
				콘텐츠호감도
				콘텐츠들에 대한
트래블피플의 반응도				
			
사용방법 안내버튼 설명 페이지 활성화
			
		


				함께하는 트래블피플
				트래블파트너, 슈퍼라이터,
파워리포터, 한줄리포터로 구성된 트래블피플				
			
				스크랩
				마이페이지
스크랩 내역에 저장				
			
				해당기사에 대한 참여
				추가정보나 사진제공, 
 오탈자 등 건의